유전적 계보 관련 자주 묻는 질문
DNA에 관해 알아볼 때면 생소한 용어를 접하거나 궁금한 것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. 아래에서 생소한 용어에 관해 더 알아보고, 자주 묻는 질문의 답을 찾아보세요.
자주 묻는 질문
DNA 관련 용어
인종적 혼합(admixture): 인종적 태생 참조.
상염색체: 성염색체가 아닌 22쌍의 염색체로, 세포핵 안에 들어 있음.
atDNA(상염색체 DNA): 유전적 계보에 사용되는 DNA의 한 종류로, 22쌍의 상염색체를 이용함.
염기쌍: 서로 대응하는 DNA 가닥에 위치한 상호 보완적인 2개의 염기. 뉴클레오타이드 참조.
센티모건(centimorgan; cM): DNA 조각의 측정 단위. 일반적으로 개인 간에 더 많은 cM이 공유될수록 유전적으로 더 많이 “연관됨”. DNA 공유 cM 표는 각 개인의 cM 수를 바탕으로 잠재적 가족 관계를 찾는 데 매우 유용함.
염색체: 핵 내에 존재하는 DNA 가닥으로, 유전적 정보를 전달함.
염색체 브라우저(Chromosome Browser): 일부 계보 회사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, 시각적으로 구현된 염색체 지도를 통해 일치하는 조각을 볼 수 있음.
염색체 맵핑(Chromosome Mapping): 각 DNA 조각에 조상들을 대응시키는 과정.
DNA(deoxyribonucleic acid, 디옥시리보핵산): 각 사람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자 코드.
DNA 프로젝트: DNA 또는 성씨에서 생물학적 연관성이 나타나는 사람들의 집단. DNA 프로젝트의 관리자는 지식이 풍부하며 집단 구성원들의 DNA 결과를 분류함.
동족결혼(endogamy): 부족, 공동체, 민족 집단 등 특정 사회 집단 내의 구성원 간으로 결혼을 한정시키는 관행. 동족결혼 집단 내의 DNA 사용은 더 어려움.
인종적 태생 추정(Ethnicity estimates): 어느 개인이 여러 인종으로부터 각각 물려받은 DNA의 대략적인 양으로, 개인의 DNA와 표준 샘플 간의 비교에 기반함. DNA 검사 업체마다 인종적 태생 추정 결과가 조금씩 다름.
유전적 계보(Genetic Genealogy): 계보적 관계들을 연결하거나 확정하기 위해 DNA 검사 결과를 사용하는 것.
유전적 계보 규범(Genetic Genealogy Standards): 유전학자 등을 위한 규범으로서 마련된, DNA 사용에 관한 윤리 및 사용 기준. http://www.geneticgenealogystandards.com/ 참조.
하플로그룹(Haplogroup): 유사한 하플로타입의 집단으로, 잘 알려진 단일 돌연변이로 특정된 공통 조상에서 나온 집단.
하플로그룹 프로젝트: 공통된 하플로그룹을 공유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프로젝트.
하플로타입(Haplotype): 함께 유전되는 대립 유전자 집단으로, 유전적 시그니처(genetic signature)라고도 부름.(역자 주: 대립 유전자는, 특정 형질에 대하여 한 쌍의 염색체가 각각 지니고 있어 서로 대응하는 유전자 한 쌍을 말함)
IBD(identical by descent; 공통 조상에 의한 동일): 관계가 있는 두 사람 간에 (희귀 돌연변이나 검사 오류인 경우를 제외하고) 동일하게 확인되는 DNA 조각으로서, 공통된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았기 때문에 동일하게 나타남.
IBS(identical by state; 상태에 따른 동일): 유전체의 영역 중, 알려진 모든 대립 유전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립 유전자가 두 사람 간에 일치하는 경우를 뜻하며, 돌연변이나 검사 오류의 가능성도 허용함.
ISOGG Wiki: 국제 유전적 계보학자 단체가 만들고 운영하는 위키. https://isogg.org/wiki 참조.
일치(Match): 동일한 DNA 조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DNA 업체가 확인한 개인.
미토콘드리아: 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함. 세포의 동력원임.
MRCA(most recent common ancestor,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): 두 개인이 공유하는 가장 최근의 조상(개인 또는 부부).
mtDNA(mitochondrial DNA, 미토콘드리아 DNA):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와 연관된 DNA로서, 어머니로부터 자녀에게 전해짐.
돌연변이(mutation): 개인의 DNA에서 일어난 변화.
NPE(non-paternal event, 비부계 사건): 문서 경로 연구에서 아버지로 파악한 사람이 생물학적인 아버지가 아닌 경우.
핵 DNA: 세포핵에 위치한 DNA. 여기에는 22쌍의 상염색체와 한 쌍의 성염색체가 있어 총 23쌍이 됨.
뉴클레오타이드(nucleotide): DNA 분자의 기본 구성 요소. 알려진 뉴클레오타이드는 4가지로, 아데닌(adenine, A) 구아닌(guanine, G), 시토신(cytosine, C), 티민(thymine, T)이 있다.
문서 경로(paper trail): 인구 조사, 유언 검인, 신상 기록(역자 주: 출생, 결혼, 사망 등을 정부가 기록한 것) 등의 전통적인 기록을 조사해서 얻는 계보.
단계화(phasing): 각 부모로부터 어느 대립 유전자 데이터가 주어졌는지 발견하는 과정.
성씨 프로젝트: 개인의 성씨를 통하여 그 사람의 계보적 근원을 조사하는 프로젝트.
가계도 삼각 검증(Tree Triangulation): 계보 관계를 검증하는 과정으로, 3명 이상의 개인이 공통 조상으로부터 문서 경로와 DNA를 각각 공유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이루어짐.
xDNA: 2가지 성염색체 중 하나. X 염색체를 2개 지닌 사람은 여성임. X 염색체는 아버지에서 아들로 전해질 수 없기 때문에 독특한 유전 패턴을 보임.
yDNA: 2가지 성염색체 중 하나. Y 염색체를 가진 사람은 남성임. Y 염색체는 아버지에서 아들로 전해짐.